인적자원개발은 무엇일까? (What is HRD?)

 

HRD는 사람 자원을 개발하는 것?                                             

 HRD/OD 분야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은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이에, HRD를 말 그대로 인간자원의 개발이란 뜻으로 풀어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단어만으로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여기서 개발의 목적어는 사람이라기보다, 사람이 가진 자원인 지식, 기술, 태도와 같은 역량들을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맞다.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사람이 모인 그룹, 팀, 조직의 변화를 이끌고 생산성, 효과성 등을 개선하는 것도 포함된다.

 인재의 중요성이 최고로 강조되는 오늘날에는, 인간을 쓰고 버리는 자원이라는 개념으로 보는 관점은 큰 비난을 받는다. 그 대안으로, 사람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키우는 자본(capital)'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는데, 자원보다는 건전하지만, 아 다르고 어 다른 말장난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해석에 따라 사람의 존엄성과 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러한 관점들은 지양되어야 마땅하고, 학계에서도 수정되는 추세이다.

학자들은 HRD를 어떻게 정의할까?

 HRD는 단순한 합성 복합어가 아니다. 엄연히 이론과 실천을 포함한 하나의 전문 분야이다. HRD를 설명하고 바라보는 관점은 학자마다 다양한데, 한국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전통적 개념으로 쓰이는 것은 McLagan이 내린 정의이다. ASTD에 그 유명한 HR 휠을 제시했던 패트리샤 맥라간은 HRD를 이렇게 정의했다. “HRD is the integrated use of training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to improve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cLagan, 1989, p. 53). "HRD는 개인, 그룹, 조직 효과성의 향상을 위한 훈련개발, 조직개발, 경력개발의 통합적 활용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비교적 최근의 정의로, 미국에서 자주 인용되는 HRD의 정의는 Swanson의 정의인데, 다음과 같다. "HRD is a process of developing and unleashing expertis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dividual, team, work process, and organizational system performance" (Swanson, 2009, p.4). 번역하면, "HRD는 개인, 팀, 업무 프로세스, 조직 시스템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전문성의 개발과 발현의 과정이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HRD의 정의는 McLean and McLean (2001)의 정의인데, 굉장히 열린 느낌이면서도 구체적이다.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any process or activity that, either initially or over the long term,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dults' work-based knowledge, expertise,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whether for personal or group/team gain, or for the benefit of an organization, community, nation or, ultimately, the whole of humanity. (p.322)

 마지막으로, 여러 전문가 및 교수들에게 사랑받는(?) 정의도 있는데, 영국식 표현이 인상적인 Hamlin (2004)의 정의였다. HRD "encompasses planned activities and processes designed to enhance organisational and individual learning, develop human  potential, maximise organis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and help bring about effective and beneficial change within and beyond the boundaries of organisations" 

다양한 정의가 가리키는 HRD의 키워드

 수많은 HRD의 정의를 통해 알수 있는 것은, HRD가 '목적'을 지닌 개인의 '발전'과 조직의 '개선'을 위한 활동이고, 궁극적으로 조직의 목표 달성, 성과향상에 목적을 둔다는 점이다. Swanson (2009)은 또한 저서 Foundation of HRD에서 Weinberger (1998)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하나의 표로 학자들의 다양한 HRD 정의를 소개한 바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HRD를 'process'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학자 간 합의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HRD를 과정으로 보는 관점이 특정한 시간과 장소가 아닌, 언제 어느 때나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가 가능한 HRD의 기능을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여러 정의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또 다른 한 가지는 HRD를 지탱하는 두 축이 학습과 성과라는 점이다.  '발전과 변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며 그 결과는 '성과'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HRD란 학습을 위한 것인가, 성과를 위한 것인가? 닭이냐 달걀이냐와 마찬가지로 이 질문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하나라도 없으면 조직의 존속은 불가능하고 HRD의 존재 의미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HRD는 학습에서 성과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지칭한다. HRD의 훈련개발, 학습에 둔 강한 초점은 SHRD로 진화하면서 비즈니스 골, 전략과 연계되어 훨씬 다양화되고, 확장된다.

 이처럼 다양한 정의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 키워드를 꼽으라면 개인과 조직, 목적, 발전, 변화, 과정, 학습, 성과 정도 되겠다. 학계에서 HRD의 합의된 정의를 구축하려는 노력은 지속되고 있으나, 그 필요성과 기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실천에서는 오랜 역사를 지녔지만, 간 학문적 특성과 함께 이론적 기반이 형성된 지 몇십 년 되지 않은 신생(?) 학문분야이기에 그렇다. HRD의 영역과 특징을 밝히고 그것의 정의에 대해 고찰한 논문들이 있는데, HRD의 기반과 성격을 확인하기에 유용하니 찾아 읽어보면 좋다.

  • Hamlin, B. (2010). What is HRD? A definitional review and synthesis of the HRD domain. 

  • Wang, X., & McLean, G. N. (2007). The dilemma of defining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 Watkins, K. E. (1991). Many voices: Def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different disciplines. 

유니버설 만국공통의 HRD란 없다.

 HRD의 모든 과정과 결과, 철학은 문화와 맥락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 HRD가 사람을 초점으로 하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이 속한 문화는 서로 지대한 영향력을 주고받는다. 이것은 HRD의 합의된 정의가 구축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HRD의 목적과 주체를 분명히 알고 자신과 자신이 속한 조직, 국가, 문화의 관점에서 HRD를 정의하며 응용하는 것이 HRD 전문가들이 해야 할 중요한 일이다.  

 

References

  • Hamlin, R. G. (2004). Toward evidence-based HRD through HRD professional partnership research. Inaugural Professorial Lecture, University of Wolverhampton, Wolverhampton.

  • McLagan, P.A. (1989). Models of HRD Practice.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43(9), 49-59.

  • McLean, G. N., & McLean, L. D. (2001). If we can't define HRD in one country, how can we define it in an international context?.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4(3), 313-326.

  • Swanson, R. A., & Holton, E. F. III. (2009). Found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nd ed.).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