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학다식 학술 블로그 "엔그램박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 네이버에서 티스토리로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2014년부터 오랫동안 운영했던 네이버 블로그를 접고 티스토리로 이전했습니다. 이전 블로그가 너무 많은 주제와 범위로 확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제별로 나누어서 좀 더 심도 있는 블로그를 만들고 싶었어요. 티스토리는 한 계정에 블로그를 여러 개 만들 수 있다고 해서 기존 블로그의 학술 리뷰 부분을 뜯어내어 티스토리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매일 와주시던 만 오천 명의 방문자분들, 그리고 이웃님들.... 어느 날 갑자기 문 닫고 이렇게 옮겨버려서 죄송합니다ㅠ 더 좋은 포스트로 다시 시작하겠습니다.
#2 엔그램박스는 다양한 학술 주제를 공부하고 리뷰하고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기억의 저장소라고 제시되었던 엔그램이란 개념은 기억이 뇌의 어디에 저장되는지에 대한 학술연구에 불을 붙였습니다. 연구하는 것이 직업인 저에게는 재미있게 공부하고 유용한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일생의 과제이죠. 저의 목표는 지식과 통찰을 사람들과 공유하며 키워나가는 것입니다. 잘 공부해서 기억처럼 새겨둔 나의 이 작은 지식공간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배움의 즐거움을 주고, 사회의 학술적 담화를 자극한다면 좋겠다는 바람에서 새 블로그의 이름을 엔그램박스(Engram+Box)라고 지었습니다.
#3 모든 글은 제가 작성합니다. 쓰실 땐 출처를 밝혀주세요.
학술 포스트를 올리면, "제 레포트에 쓰고 싶은데 이 글의 출처가 어떻게 되죠?"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글들은 블로그 주인장인 제가 직접 작성합니다. 저작권이 있기 때문에 제 블로그 포스트의 내용을 가져다 쓰시거나 참고하실 때는 출처를 밝혀주세요. 제가 CCL 허가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칙상으로는 출처 표기를 하시더라도 퍼가거나 이용시 허락이 필요하지만, 출처가 달려있다면 어지간해서는 문제 삼지 않을 생각입니다. 하지만, 예전 제 블로그에서도 그랬듯, 출처 표기 없는 도용과 수정, 표절, 출판 및 상업적 이용은 모두 불허하며 이를 어기고 제가 발견할 시에는 사전 경고나 타협은 없습니다.
혹시 학교 레포트나 논문 등에 참고문헌으로 추가하는 경우라면, 블로그 출처 표기는 APA 7th 양식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써주시면 됩니다.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 저자명. (포스트 연도). 포스트 제목 [블로그]. 블로그 이름. 접속일, URL
엔그램박스. (2021). Welcome to my academic blog EngramBox! [블로그]. 학술 블로그_EngramBox, 2021년 5월 30일 접속, engrambox.tistory.com/notice/2
영어로 작성하는 경우: Author. (post year, month, day). post title. [Blog post]. URL
EngramBox. (2021, January 12). Welcome to my academic blog EngramBox! [Blog post]. engrambox.tistory.com/notice/2
본문 안에서 인용표기: EngramBox (2021) 또는 (EngramBox, 2021)
제 포스트에서 인용된 자료는 APA 형식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포스트 하단 reference에 항상 참고문헌 출처를 밝히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 :D 주저 말고 소통해주세요.
질문이나 하고픈 이야기가 있다면, 방명록, 댓글, 이메일 등등 편한 방법으로 주저 말고 소통해주세요. 이 언택트 시대에 가능한 소통의 방법을 모두 잘 활용해야겠어요. 저의 엔그램박스에서 즐거움과 유익함이 공유되길 바랍니다.
- 학술 블로그_EngramBox 주인장 엔그램박스